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밸류챔피언
- 투자
- p2p대출
- 신용카드비교사이트
- 재테크
- 신용카드추천사이트
- 대출
- 개인신용대출
- 신용카드할인
- 자동차보험추천
- 신용대출
- 금리
- 신용카드추천
- 보험
- 신용카드혜택
- 자동차보험견적
- 자동차
- p2p금융
- 자동차보험비교
- 생활정보
- 자동차보험
- 부동산
- 신용카드
- 할인혜택
- 신용카드비교추천
- 금융
- 신용카드할인혜택
- 다이렉트자동차보험
- 신용카드비교
- 절약
- Today
- Total
ValueChampion
끊이지 않는 남녀 임금격차 논란. 이공계, 고소득 직종에서도 뚜렷해 본문
통계청이 주관하는 국가통계포털에 의하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2021년 1월의 실업률은 남성 5%, 여성 6.7%로 치솟았다고 합니다. 바이러스는 남녀불문 위협적인 존재이지만 경제적 여파는 여성에게 더 큰 부담을 주어 여성이 남성에 비해 34%나 실업을 경험하고 있을 확률이 높았습니다. 2019년에 성별간 실업률 차이가 최고 0.6%에 그쳤던 것을 고려하면 1.7%의 차이는 어마어마합니다. 밸류챔피언 애널리스트팀에서 한국에서의 남녀간 임금격차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주요 조사 결과
-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30.77%로 OECD국가 중 가장 높음
- 스템 분야에서의 남녀간 임금격차는 최고 24.55%로 고소득 특수 전문직에서도 상당한 것으로 집계되었음
- 사회복지나 교육같은 여성이 과반수인 직종은 임금격차가 최고 46.57%로 가장 높은 축에 속했음
- 소득이 가장 낮은 직종과 가장 높은 직종의 평균 임금격차는 각각 81.64%와 78.80%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임금격차의 현황
남녀 임금격차는 남성과 여성사이 받는 임금의 차이로, 평균임금은 업계, 직종, 경력 등 다양하고 중요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여성의 취업진출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사업체 특성별 임금 분포현황에 의하면 2020년 6월 기준, 남성의 평균 임금은 4874여만원이었으며 여성의 평균임금은 남성보다 30.77% 낮은 3374여만원이었습니다. 이는 2019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조사한 32.5%의 임금격차 보다는 조금 낮지만 OECD 국가중 2번째로 임금격차가 높았던 일본(2019년 당시 23.5%)보다 아직 현저히 높은 수치입니다.
스템 분야 내에서도 존재하는 성별 임금격차
스템분야(Science 과학, Technlogy 기술, Engineering 공학, Mathematics 수학)는 직종 특성 상 절대소득이 비교적 높지만 종사하는 여성의 수가 적습니다. 실제로 과학, 정보통신, 공학 같은 스템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는 최대 24.55%로 특수 전문직종에서도 남녀사이 임금차이는 적지 않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직종 |
평균임금 (천원) |
비율 |
|
남성 |
여성 |
||
과학 전문가 |
61658 |
47201 |
76.55% |
공학전문가 |
56550 |
44634 |
78.93% |
정보통신 전문가 |
59172 |
48256 |
81.55% |
남녀 임금격차가 가장 큰 직종
놀랍게도 남녀임금격차가 가장 큰 직종 중 두가지는 여성비율이 높은 보건사회복지 관련 직종과 교육관련 직종이었으며 남성대비 여성임금은 각각 53.44%와 61.07%이었습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하면 2018년을 기준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여성비율은 71.3%였으며 여교사의 비율은 62%였습니다. 따라서 여성의 비율이 높은 것만으로 남녀간의 임금격차가 해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직종 |
평균임금 (천원) |
비율 |
|
남성 |
여성 |
||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
61469 |
32843 |
53.43% |
교육 전문가 |
62065 |
37903 |
61.07% |
상하수도 및 재활용 처리 |
41490 |
25746 |
62.05% |
화학관련 기계조작 |
38006 |
25239 |
64.51% |
기계제조 및 관련 기계조작 |
38006 |
25239 |
66.41% |
남녀 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직종
남녀 임금격차가 가장 적은 직종으로는 법률 및 행정전문직과 경찰소방관 등 공무관련 직종과 제조, 농어업 단순노무직이 주를 이뤘습니다. 보통 평균소득이 높은 직종일 수록 남녀임금격차가 적을 것이라는 편견이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48개의 직종 중 소득이 가장 높은 10개 직종의 평균 임금격차와 소득이 가장 낮은 10개 직종의 평균 임금격차는 각각 78.8%와 81.64%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직종 |
평균임금 (천원) |
비율 |
|
남성 |
여성 |
||
법률 및 행정 전문 |
81495 |
78220 |
95.98% |
건설전기 및 생산 |
98178 |
91123 |
92.81% |
농림어업 및 기타 서비스 단순노무 |
27507 |
24773 |
90.06% |
경찰소방 및 보안 |
34635 |
24773 |
90.06% |
제조관련 단순노무 |
27074 |
23863 |
88.14% |
남녀간 임금격차 트렌드는
아직까지 한국의 남녀간 임금격차는 매우 높고 여러가지 사회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어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성의 경제참여율은 지난 10년간 40%후반대에서 50%대 전반대로 진입했으며 여성의 대학진학률 또한 남성보다 8% 높아 향후 트렌드를 낙관적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충분히 있습니다. 여성가족부에 의하면 남성대비 여성임금 비율은 2010년부터 2019년 까지 62.6%에서 67.8%로, 느리지만 꾸준히 상승해왔습니다. 하지만 같은 속도라면 60여년 이후에나 남녀임금 격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한 금무시간 보장과 남성육아휴직 의무화를 이용한 여성 경력단절 최소화, 여성직원 및 임원 할당제 등 다양한 방면으로 문제를 대처해야 임금격차 제거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끊이지 않는 남녀 임금격차 논란. 이공계, 고소득 직종에서도 뚜렷해
수십년간 남녀 임금격차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어 왔지만 성별로 인한 임금차별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임금격차의 현황은 어떠한지, 밸류챔피언 애널리스트 팀이 분석해봤습니다.
www.valuechampion.co.kr
'개인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기에 좋지 않은 미세먼지, 지갑에도 나쁘다 (0) | 2021.03.26 |
---|---|
수입산과 국내산 식품의 가격차이는 얼마나 날까? (0) | 2021.03.26 |
다시오는 황사철에 미세먼지 잡아주는 식물들 (0) | 2021.03.19 |
코로나 사태에 술 가격인상도 주춤 (0) | 2021.03.18 |
한국의 라떼팩터는? 우리가 매년 커피에 쓰는 비용 (0) | 2021.03.10 |